languages/coding test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5: 문자열 > 11654번 #11654: 아스키 코드 asc = input() print(ord(asc)) 아스키 코드 변환 함수 ord를 사용합니다.
[백준/Python] 11654번: 개수 세기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5: 문자열 > 11654번 #11654: 아스키 코드 asc = input() print(ord(asc)) 아스키 코드 변환 함수 ord를 사용합니다.
2024.01.28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5: 문자열 > 9086번 #9086: 문자열 t = int(input()) for i in range(t): s = input() print("%s%s" %(s[0], s[-1])) -1 인덱스를 사용하면 맨 마지막 문자를 출력합니다.
[백준/Python] 9086번: 문자열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5: 문자열 > 9086번 #9086: 문자열 t = int(input()) for i in range(t): s = input() print("%s%s" %(s[0], s[-1])) -1 인덱스를 사용하면 맨 마지막 문자를 출력합니다.
2024.01.28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5: 문자열 > 2743번 #2743: 단어 길이 재기 s = input() print(len(s)) 길이를 재는 힘수 len을 사용합니다.
[백준/Python] 2743번: 단어 길이 재기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5: 문자열 > 2743번 #2743: 단어 길이 재기 s = input() print(len(s)) 길이를 재는 힘수 len을 사용합니다.
2024.01.28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5: 문자열 > 27866번 #27866: 문자와 문자열 s = input() i = int(input()) print(s[i-1]) 문자는 int를 붙여서 받지 않습니다.
[백준/Python] 27866번: 문자와 문자열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5: 문자열 > 27866번 #27866: 문자와 문자열 s = input() i = int(input()) print(s[i-1]) 문자는 int를 붙여서 받지 않습니다.
2024.01.28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4: 1차원 배열 > 1546번 #1546: 평균 n = int(input()) score = list(map(int, input().split())) M = max(score) for i in range(n): score[i] = score[i]/M*100 print(sum(score)/len(score)) 평균을 구하는 함수가 별도로 없기 때문에 sum/n 방식으로 구하는 것만 주의하면 됩니다.
[백준/Python] 1546번: 개수 세기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4: 1차원 배열 > 1546번 #1546: 평균 n = int(input()) score = list(map(int, input().split())) M = max(score) for i in range(n): score[i] = score[i]/M*100 print(sum(score)/len(score)) 평균을 구하는 함수가 별도로 없기 때문에 sum/n 방식으로 구하는 것만 주의하면 됩니다.
2024.01.15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4: 1차원 배열 > 10811번 #10811: 바구니 뒤집기 n, m = map(int, input().split()) L = [i+1 for i in range(n)] for i in range(m): i, j = map(int, input().split()) L_new = L[i-1:j] L_new.reverse() L[i-1:j] = L_new for i in range(n): print(L[i], end=" ") 리스트의 일부를 복제한 복사본을 만든 뒤 이를 거꾸로 뒤집는 reverse 메소드를 사용합니다. 뒤집힌 복사본을 원본 리스트에 끼워 넣는 작업을 m번 반복하면 됩니다.
[백준/Python] 10811번: 바구니 뒤집기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4: 1차원 배열 > 10811번 #10811: 바구니 뒤집기 n, m = map(int, input().split()) L = [i+1 for i in range(n)] for i in range(m): i, j = map(int, input().split()) L_new = L[i-1:j] L_new.reverse() L[i-1:j] = L_new for i in range(n): print(L[i], end=" ") 리스트의 일부를 복제한 복사본을 만든 뒤 이를 거꾸로 뒤집는 reverse 메소드를 사용합니다. 뒤집힌 복사본을 원본 리스트에 끼워 넣는 작업을 m번 반복하면 됩니다.
2024.01.15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4: 1차원 배열 > 3052번 #3052: 나머지 L = [] for i in range(10): L.append(int(input())%42) print(len(set(L))) 빈 리스트를 생성하고, 입력 받은 값을 42로 나눈 나머지를 L에 저장합니다. set 기능을 사용하면 중복을 제거한 고유 값들만을 볼 수 있습니다.
[백준/Python] 3052번: 나머지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4: 1차원 배열 > 3052번 #3052: 나머지 L = [] for i in range(10): L.append(int(input())%42) print(len(set(L))) 빈 리스트를 생성하고, 입력 받은 값을 42로 나눈 나머지를 L에 저장합니다. set 기능을 사용하면 중복을 제거한 고유 값들만을 볼 수 있습니다.
2024.01.15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4: 1차원 배열 > 5597번 #5597: 과제 안 내신 분..? L = [i+1 for i in range(30)] for i in range(28): L.remove(int(input())) print(min(L)) print(max(L)) 1~30까지의 번호가 적힌 리스트를 만들고, 28번의 반복을 통해 입력된 값을 리스트에서 제거합니다. pop을 사용하면 입력한 '인덱스'가 제거되므로 remov를 사용해야 합니다.
[백준/Python] 5597번: 과제 안 내신 분..?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4: 1차원 배열 > 5597번 #5597: 과제 안 내신 분..? L = [i+1 for i in range(30)] for i in range(28): L.remove(int(input())) print(min(L)) print(max(L)) 1~30까지의 번호가 적힌 리스트를 만들고, 28번의 반복을 통해 입력된 값을 리스트에서 제거합니다. pop을 사용하면 입력한 '인덱스'가 제거되므로 remov를 사용해야 합니다.
2024.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