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s/coding test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4: 1차원 배열 > 10813번 #10813: 공 바꾸기 n, m = map(int, input().split()) L = [i+1 for i in range(n)] for a in range(m): i, j = map(int, input().split()) L[i-1], L[j-1] = L[j-1], L[i-1] for i in range(n): print(L[i], end=" ") 10810번 문제보다 쉽습니다. 이중 반복문 없이 두 인덱스를 바꿔주면 됩니다.
[백준/Python] 10813번: 공 바꾸기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4: 1차원 배열 > 10813번 #10813: 공 바꾸기 n, m = map(int, input().split()) L = [i+1 for i in range(n)] for a in range(m): i, j = map(int, input().split()) L[i-1], L[j-1] = L[j-1], L[i-1] for i in range(n): print(L[i], end=" ") 10810번 문제보다 쉽습니다. 이중 반복문 없이 두 인덱스를 바꿔주면 됩니다.
2024.01.15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4: 1차원 배열 > 10810번 #10810: 공 넣기 n, m = map(int, input().split()) L = [0 for i in range(n)] for a in range(m): i, j, k = map(int, input().split()) for b in range(i, j+1): L[b-1] = k for i in range(n): print(L[i], end=" ") 문제를 이해하는 게 관건입니다. 먼저 n개의 바구니를 리스트로 구현합니다. 그리고 m번의 반복문을 통해 각 바구니에서 공을 교체하는 것을 L[b-1]=k로 구현합니다. 마지막 두 줄은 출력을 위한 코드입니다.
[백준/Python] 10810번: 공 넣기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4: 1차원 배열 > 10810번 #10810: 공 넣기 n, m = map(int, input().split()) L = [0 for i in range(n)] for a in range(m): i, j, k = map(int, input().split()) for b in range(i, j+1): L[b-1] = k for i in range(n): print(L[i], end=" ") 문제를 이해하는 게 관건입니다. 먼저 n개의 바구니를 리스트로 구현합니다. 그리고 m번의 반복문을 통해 각 바구니에서 공을 교체하는 것을 L[b-1]=k로 구현합니다. 마지막 두 줄은 출력을 위한 코드입니다.
2024.01.15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4: 1차원 배열 > 2562번 #2562: 최댓값 L = [] for i in range(9): L.append(int(input())) max=-999999 ind = 0 for i in range(9): if L[i] > max: max = L[i] ind = i print(max) print(ind+1) 빈 리스트를 생성합니다. 입력이 세로이므로 반복문을 이용해서 순차적으로 리스트에 넣어줍니다. 최댓값과 인덱스를 지정한 후, 각각의 항목마다 최댓값과 비교하는 작업을 실시합니다. 나온 최댓값과 그 인덱스를 저장한 뒤, 반복문이 끝나고 출력해줍니다.
[백준/Python] 2562번: 최댓값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4: 1차원 배열 > 2562번 #2562: 최댓값 L = [] for i in range(9): L.append(int(input())) max=-999999 ind = 0 for i in range(9): if L[i] > max: max = L[i] ind = i print(max) print(ind+1) 빈 리스트를 생성합니다. 입력이 세로이므로 반복문을 이용해서 순차적으로 리스트에 넣어줍니다. 최댓값과 인덱스를 지정한 후, 각각의 항목마다 최댓값과 비교하는 작업을 실시합니다. 나온 최댓값과 그 인덱스를 저장한 뒤, 반복문이 끝나고 출력해줍니다.
2024.01.15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4: 1차원 배열 > 10818번 #10818: 최소, 최대 n = int(input()) L = list(map(int, input().split())) print(min(L), max(L)) 하다가 중간에 'list' object is not callable 오류가 자꾸 나서, 내장 함수 말고 순차 반복문을 이용한 코드도 같이 첨부합니다. #순차 반복 방법 n = int(input()) L = list(map(int, input().split())) min, max = 10000000, -10000000 for item in L: if item > max: max = item if item < min: min = item print(min, max)
[백준/Python] 10818번: 최소, 최대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4: 1차원 배열 > 10818번 #10818: 최소, 최대 n = int(input()) L = list(map(int, input().split())) print(min(L), max(L)) 하다가 중간에 'list' object is not callable 오류가 자꾸 나서, 내장 함수 말고 순차 반복문을 이용한 코드도 같이 첨부합니다. #순차 반복 방법 n = int(input()) L = list(map(int, input().split())) min, max = 10000000, -10000000 for item in L: if item > max: max = item if item < min: min = item print(min, max)
2024.01.15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4: 1차원 배열 > 10871번 #10871: X보다 작은 수 n, x = map(int, input().split()) list = list(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n): if list[i] < x: print(list[i], end=" ") n과 x, list를 생성한 뒤 각 항목이 x보다 작은지 가려내는 반복문과 조건문을 작성합니다. 각 반복마다 x와 비교 후 조건을 만족하는 항목을 출력하는 코드입니다.
[백준/Python] 10871번: X보다 작은 수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4: 1차원 배열 > 10871번 #10871: X보다 작은 수 n, x = map(int, input().split()) list = list(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n): if list[i] < x: print(list[i], end=" ") n과 x, list를 생성한 뒤 각 항목이 x보다 작은지 가려내는 반복문과 조건문을 작성합니다. 각 반복마다 x와 비교 후 조건을 만족하는 항목을 출력하는 코드입니다.
2024.01.15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4: 1차원 배열 > 10807번 #10807: 개수 세기 n = int(input()) l = list(map(int, input().split())) v = int(input()) print(l.count(v)) 스페이스바로 구분된 문자들을 리스트 l로 저장하는 list(map(int, input().split()))을 사용합니다. 출력 시 리스트 l 내 v의 개수를 세는 count(v) 메소드를 사용하면 반복문이나 조건문 없이 쉽게 풀 수 있습니다.
[백준/Python] 10807번: 개수 세기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4: 1차원 배열 > 10807번 #10807: 개수 세기 n = int(input()) l = list(map(int, input().split())) v = int(input()) print(l.count(v)) 스페이스바로 구분된 문자들을 리스트 l로 저장하는 list(map(int, input().split()))을 사용합니다. 출력 시 리스트 l 내 v의 개수를 세는 count(v) 메소드를 사용하면 반복문이나 조건문 없이 쉽게 풀 수 있습니다.
2024.01.15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3: 반복문 > 10951번 #10951: A+B - 4 while True: try: a, b = map(int,input().split()) print(a+b) except: break 끝나는 조건이 지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while만 쓰면 오류가 난다. 입력이 들어오지 않을 경우를 try/except로 조건을 지정해줘야 한다.
[백준/Python] 10951번: A + B - 4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3: 반복문 > 10951번 #10951: A+B - 4 while True: try: a, b = map(int,input().split()) print(a+b) except: break 끝나는 조건이 지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while만 쓰면 오류가 난다. 입력이 들어오지 않을 경우를 try/except로 조건을 지정해줘야 한다.
2024.01.14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3: 반복문 > 10952번 #10952: A+B - 5 while True: a, b = map(int,input().split()) if a==0 and b==0: break else: print(a+b) 예제를 보면 반복 수를 지정하는 입력이 없고, 0 0인 경우 반복을 중지합니다. 이처럼 수가 지정되지 않은 반복은 while 문을 사용합니다. 반복이 True인 동안(True 대신 1로 써도 동일합니다) 덧셈을 진행하고, a=b=0인 경우 반복을 중지하는 break를 걸어줍니다.
[백준/Python] 10952번: A + B - 5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3: 반복문 > 10952번 #10952: A+B - 5 while True: a, b = map(int,input().split()) if a==0 and b==0: break else: print(a+b) 예제를 보면 반복 수를 지정하는 입력이 없고, 0 0인 경우 반복을 중지합니다. 이처럼 수가 지정되지 않은 반복은 while 문을 사용합니다. 반복이 True인 동안(True 대신 1로 써도 동일합니다) 덧셈을 진행하고, a=b=0인 경우 반복을 중지하는 break를 걸어줍니다.
2024.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