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s/Linux
-
Shell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고 실행하는 명령 해석기. OS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일반 요소이다. 리눅스 CLI에서는 bash가 기본(표준) 셸이다. 터미널을 실행하거나 CLI 환경에서 로그인을 하면 자동으로 기본 셸(bash)로 시작하며, 셸 프로그램 이름으로 명령한다. stty: 터미널 세팅 및 컨트롤 키 변경 명령어 stty -a: 현재 터미널에서 사용 가능한 명령어 보여준다. 셸의 공통 기능 다수의 내장(built-in) 명령어 제공 메타 문자 사용 입출력 및 오류 재지정 (redirection) 파이프라인 명령어 대치/완성/편집 환경 변수와 지역변수 백그라운드 처리와 작업(프로세스) 제어 셸 프로그래밍 메타문자: 문자 자체가 아닌 별도의 의미를 가지는 문자 메타문자 의미..
[Linux] Bash Shell 기초Shell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고 실행하는 명령 해석기. OS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일반 요소이다. 리눅스 CLI에서는 bash가 기본(표준) 셸이다. 터미널을 실행하거나 CLI 환경에서 로그인을 하면 자동으로 기본 셸(bash)로 시작하며, 셸 프로그램 이름으로 명령한다. stty: 터미널 세팅 및 컨트롤 키 변경 명령어 stty -a: 현재 터미널에서 사용 가능한 명령어 보여준다. 셸의 공통 기능 다수의 내장(built-in) 명령어 제공 메타 문자 사용 입출력 및 오류 재지정 (redirection) 파이프라인 명령어 대치/완성/편집 환경 변수와 지역변수 백그라운드 처리와 작업(프로세스) 제어 셸 프로그래밍 메타문자: 문자 자체가 아닌 별도의 의미를 가지는 문자 메타문자 의미..
2024.04.08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보기: ps ps [optionxs]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주요 옵션은 아래와 같다. -e 실행 중인 모든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a 로그인 중인 터미널과 관련된 모든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f 프로세스에 대한 모든 정보를 출력한다. -l 프호세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출력한다. -H 프로세스를 트리 구조로 보여준다. -t tty_no 지정 단말 tty_no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p PID 지정하는 프로세스 번호(PID)의 정보를 보여준다. -u UID 지정하는 사용자 번호(UID) 또는 사용자 이름의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g GID 지정하는 그룹 번호(GID)의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F S UID/PID /PPID C PRI NI WCHAN TIME ..
[Linux] 감시 및 관리 명령어실행 중인 프로세스 보기: ps ps [optionxs]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주요 옵션은 아래와 같다. -e 실행 중인 모든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a 로그인 중인 터미널과 관련된 모든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f 프로세스에 대한 모든 정보를 출력한다. -l 프호세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출력한다. -H 프로세스를 트리 구조로 보여준다. -t tty_no 지정 단말 tty_no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p PID 지정하는 프로세스 번호(PID)의 정보를 보여준다. -u UID 지정하는 사용자 번호(UID) 또는 사용자 이름의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g GID 지정하는 그룹 번호(GID)의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F S UID/PID /PPID C PRI NI WCHAN TIME ..
2024.04.08 -
파일 권한 바꾸기: chmod chmod [options] mode [,mode] ... file ... chmod [options] octal-mode file ... change mode의 약자. mode 표현은 8잔부 모드와 기호 모드가 있다. 8진수 모드: 각 권한을 1과 0으로 표현, 3개씩 묶어 8진수로 표현 기호 모드: 주체 [+-=] [권한]으로 사용한다. 주체: u(owner), g(group), o(other), a(all) +-=: 권한 추가(+), 권한 삭제(-), 지정한 것만 남기고 삭제(=) 권한: r(read), w(write), x(execute) #chmod directory 내에 f1 파일과 test3 디렉터리가 있었다 chmod o-r f1 # f1 파일의 other 에..
[Linux] 파일 관리 명령어 3파일 권한 바꾸기: chmod chmod [options] mode [,mode] ... file ... chmod [options] octal-mode file ... change mode의 약자. mode 표현은 8잔부 모드와 기호 모드가 있다. 8진수 모드: 각 권한을 1과 0으로 표현, 3개씩 묶어 8진수로 표현 기호 모드: 주체 [+-=] [권한]으로 사용한다. 주체: u(owner), g(group), o(other), a(all) +-=: 권한 추가(+), 권한 삭제(-), 지정한 것만 남기고 삭제(=) 권한: r(read), w(write), x(execute) #chmod directory 내에 f1 파일과 test3 디렉터리가 있었다 chmod o-r f1 # f1 파일의 other 에..
2024.04.08 -
새로운 디렉터리 생성: mkdir $ mkdir [option] directory make directory. 디렉터리는 절대경로, 상대경로 모두 쓸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디렉터리를 한꺼번에 생성할 수도 있다. 대표적인 옵션은 아래와 같다. -p 지정된 디렉터리의 중간 디렉터리도 같이 생성한다. -m mode 접근 권한을 부여해서 디렉터리를 생성한다. test2가 없어서 test2/test2-1가 만들어지지 않으므로 -p 옵션을 이용해 없는 상위 디렉터리도 함께 만들어준다. test3을 만들 때 700 권한을 주어 생성한다. 디렉터리 삭제: rmdir $ rmdir [option] directory remove directory. 빈 디렉터리만 삭제할 수 있다. -p 옵션을 쓸 경우 디렉터리 삭제..
[Linux] 파일 관리 명령어 2새로운 디렉터리 생성: mkdir $ mkdir [option] directory make directory. 디렉터리는 절대경로, 상대경로 모두 쓸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디렉터리를 한꺼번에 생성할 수도 있다. 대표적인 옵션은 아래와 같다. -p 지정된 디렉터리의 중간 디렉터리도 같이 생성한다. -m mode 접근 권한을 부여해서 디렉터리를 생성한다. test2가 없어서 test2/test2-1가 만들어지지 않으므로 -p 옵션을 이용해 없는 상위 디렉터리도 함께 만들어준다. test3을 만들 때 700 권한을 주어 생성한다. 디렉터리 삭제: rmdir $ rmdir [option] directory remove directory. 빈 디렉터리만 삭제할 수 있다. -p 옵션을 쓸 경우 디렉터리 삭제..
2024.04.07 -
현재 작업 디렉터리 확인 명령어: pwd pwd(print working directory) $ pwd 디렉터리 변경: cd $ cd directory 절대경로, 상대경로, 특수경로 이름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인자가 생략될 경우 자신의 home directory로 지정된다. .은 현재 디렉터리, ..은 상위 디렉터리를 의미한다. ~를 쓰면 홈 디렉토리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파일 찾기: find $ find [path] [expression] 지정된 path 이해의 모든 디렉터리를 순환적으로 검색한다. 여러 path를 한꺼번에 지정할 수 있다. path를 생략하면 현재 디렉터리를, expression이 없으면 지정된 디렉터리 내의 모든 파일을 검색한다. 대표적인 옵션은 다음과 같다. -name 파일..
[Linux] 파일 관리 명령어 1현재 작업 디렉터리 확인 명령어: pwd pwd(print working directory) $ pwd 디렉터리 변경: cd $ cd directory 절대경로, 상대경로, 특수경로 이름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인자가 생략될 경우 자신의 home directory로 지정된다. .은 현재 디렉터리, ..은 상위 디렉터리를 의미한다. ~를 쓰면 홈 디렉토리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파일 찾기: find $ find [path] [expression] 지정된 path 이해의 모든 디렉터리를 순환적으로 검색한다. 여러 path를 한꺼번에 지정할 수 있다. path를 생략하면 현재 디렉터리를, expression이 없으면 지정된 디렉터리 내의 모든 파일을 검색한다. 대표적인 옵션은 다음과 같다. -name 파일..
2024.04.07 -
CUI(Command Line Interface): 텍스트를 직접 입력해서 명령하는 방식. 키보드에 의존적이다. GUI(Graphic User Interface): 커서를 이용해서 시각적으로 명령을 처리하는 방식. 사용자 친화적이다. 셸(Shell) 사용자 명령을 해석하고 실행하는 기능을 한다. OS뿐 아니라 모든 종류의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요소이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에서는 HTML 엔진의 셸을 사용한다. 리눅스 CLI에서는 bash가 기본적이다. 사용자 계정에 기본 로그인 셸로 /bin/bash가 설정되어 있다. CLI 셸을 실행하는 장치는 터미널(Terminal)이다\. 사용자로부터 텍스트를 입력받고, 실행 결과를 텍스트로 출력한다. 데이터 저장이다 처리 없이 입출력만을 담당한다. 본체..
[Linux] 셸과 Bash의 개념CUI(Command Line Interface): 텍스트를 직접 입력해서 명령하는 방식. 키보드에 의존적이다. GUI(Graphic User Interface): 커서를 이용해서 시각적으로 명령을 처리하는 방식. 사용자 친화적이다. 셸(Shell) 사용자 명령을 해석하고 실행하는 기능을 한다. OS뿐 아니라 모든 종류의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요소이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에서는 HTML 엔진의 셸을 사용한다. 리눅스 CLI에서는 bash가 기본적이다. 사용자 계정에 기본 로그인 셸로 /bin/bash가 설정되어 있다. CLI 셸을 실행하는 장치는 터미널(Terminal)이다\. 사용자로부터 텍스트를 입력받고, 실행 결과를 텍스트로 출력한다. 데이터 저장이다 처리 없이 입출력만을 담당한다. 본체..
2024.04.05 -
프로세스 프로세스: 실행 중인 프로그램 ↔ 프로그램: 파일로 저장된 실행 가능한 코드 프로세스는 실행되면서 자신의 상태가 변한다. 이를 생명 주기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신규(new) 프로세스가 생성 중 준비(ready) 언제든지 실행할 준비 완료 실행(running) CPU가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중 대기(waiting)/중단(blocked) 프로세스가 이벤트나 입출력 대기 신호 발생을 기다리는 상태 종료terminated) 프로세스가 실행을 종료 프로세스 모니터링 프로세스 탭에서 시스템을 감시할 수 있다. 프로세스 상태는 프로세스 생명 주기 중의 상태를 말한다. 실행중(running): ready+running 휴식(sleeping): interruptible waiting 중단 불가능(uninter..
[Linux] 리눅스: 프로세스와 사용자프로세스 프로세스: 실행 중인 프로그램 ↔ 프로그램: 파일로 저장된 실행 가능한 코드 프로세스는 실행되면서 자신의 상태가 변한다. 이를 생명 주기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신규(new) 프로세스가 생성 중 준비(ready) 언제든지 실행할 준비 완료 실행(running) CPU가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중 대기(waiting)/중단(blocked) 프로세스가 이벤트나 입출력 대기 신호 발생을 기다리는 상태 종료terminated) 프로세스가 실행을 종료 프로세스 모니터링 프로세스 탭에서 시스템을 감시할 수 있다. 프로세스 상태는 프로세스 생명 주기 중의 상태를 말한다. 실행중(running): ready+running 휴식(sleeping): interruptible waiting 중단 불가능(uninter..
2024.04.04 -
파일 시스템 구조 파일 시스템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자료는 모두 하드디스크에 존재한다. 하드디스크 자료의 논리적 구조가 파일 시스템이다. UNIX/Linux의 파일 시스템 UNIX와 Linux의 파일 시스템은 트리 구조이다. (/는 root) 파일(File): 보조 저장 매체에 존재하는 정보의 논리적 저장 단위 디렉터리(Directory): 많은 파일의 논리적 집합=파일의 목록이며, UNIX에서는 디렉터리도 하나의 파일로 취급한다. 경로(Path) 절대경로: /(root)로부터의 경로로, 시스템 전체에서 유일무이한 이름의 역할이다. 상대경로: 현재 위치로부터의 경로를 나타낸다. / 루트 . 현재 디렉터리 .. 부모 디렉터리 - 홈 디렉터리(로그인 시 위치) UNIX/Linux 파일 시스템 구조의 관습적 ..
[Linux] 리눅스: 파일 시스템 구조파일 시스템 구조 파일 시스템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자료는 모두 하드디스크에 존재한다. 하드디스크 자료의 논리적 구조가 파일 시스템이다. UNIX/Linux의 파일 시스템 UNIX와 Linux의 파일 시스템은 트리 구조이다. (/는 root) 파일(File): 보조 저장 매체에 존재하는 정보의 논리적 저장 단위 디렉터리(Directory): 많은 파일의 논리적 집합=파일의 목록이며, UNIX에서는 디렉터리도 하나의 파일로 취급한다. 경로(Path) 절대경로: /(root)로부터의 경로로, 시스템 전체에서 유일무이한 이름의 역할이다. 상대경로: 현재 위치로부터의 경로를 나타낸다. / 루트 . 현재 디렉터리 .. 부모 디렉터리 - 홈 디렉터리(로그인 시 위치) UNIX/Linux 파일 시스템 구조의 관습적 ..
2024.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