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s/coding test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6: 심화 1 > 25083번 #25083: 새싹 #큰따옴표 안에 큰따옴표 출력 시 \"로 작성 print(" ,r'\"7") print("r`-_ ,' ,/") print(" \\. \". L_r'") print(" `~\\/") print(" |") print(" |") 큰따옴표 안에 큰따옴표를 출력할 경우 \"로 사용해줘야 합니다.
[백준/Python] 25083번: 새싹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6: 심화 1 > 25083번 #25083: 새싹 #큰따옴표 안에 큰따옴표 출력 시 \"로 작성 print(" ,r'\"7") print("r`-_ ,' ,/") print(" \\. \". L_r'") print(" `~\\/") print(" |") print(" |") 큰따옴표 안에 큰따옴표를 출력할 경우 \"로 사용해줘야 합니다.
2024.01.28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5: 문자열 > 11718번 #11718: 그대로 출력하기 while True: try: s = input() print(s.strip()) except: break 그대로 출력하는 대신 런타임 오류를 끊어주기 위해 while 반복문 안에 try-except 문을 사용합니다.
[백준/Python] 11718번: 그대로 출력하기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5: 문자열 > 11718번 #11718: 그대로 출력하기 while True: try: s = input() print(s.strip()) except: break 그대로 출력하는 대신 런타임 오류를 끊어주기 위해 while 반복문 안에 try-except 문을 사용합니다.
2024.01.28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5: 문자열 > 5622번 #5622: 다이얼 s = input() sum = 0 for i in range(len(s)): if s[i]=='A' or s[i]=='B' or s[i]=='C': sum = sum + 3 elif s[i]=='D' or s[i]=='E' or s[i]=='F': sum = sum + 4 elif s[i]=='G' or s[i]=='H' or s[i]=='I': sum = sum + 5 elif s[i]=='J' or s[i]=='K' or s[i]=='L': sum = sum + 6 elif s[i]=='M' or s[i]=='N' or s[i]=='O': sum = sum + 7 elif s[i]=='P' or s[i]=='Q' or s[i]..
[백준/Python] 5622번: 다이얼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5: 문자열 > 5622번 #5622: 다이얼 s = input() sum = 0 for i in range(len(s)): if s[i]=='A' or s[i]=='B' or s[i]=='C': sum = sum + 3 elif s[i]=='D' or s[i]=='E' or s[i]=='F': sum = sum + 4 elif s[i]=='G' or s[i]=='H' or s[i]=='I': sum = sum + 5 elif s[i]=='J' or s[i]=='K' or s[i]=='L': sum = sum + 6 elif s[i]=='M' or s[i]=='N' or s[i]=='O': sum = sum + 7 elif s[i]=='P' or s[i]=='Q' or s[i]..
2024.01.28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5: 문자열 > 2908번 #2908: 상수 a, b = input().split() a_n = int(a[::-1]) b_n = int(b[::-1]) print(max(a_n, b_n)) [::-1]는 문자열을 뒤에서부터 출력하는 메서드입니다. 둘을 거꾸로 변환한 뒤 숫자로 바꾸고, 둘 중 최댓값을 출력합니다.
[백준/Python] 2908번: 상수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5: 문자열 > 2908번 #2908: 상수 a, b = input().split() a_n = int(a[::-1]) b_n = int(b[::-1]) print(max(a_n, b_n)) [::-1]는 문자열을 뒤에서부터 출력하는 메서드입니다. 둘을 거꾸로 변환한 뒤 숫자로 바꾸고, 둘 중 최댓값을 출력합니다.
2024.01.28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5: 문자열 > 1152번 #1152: 단어의 개수 s = input() print(len(s.split())) 공백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누는 메서드를 사용합니다. 이 함수를 모른다면 아래 걸로 써도 됩니다. 양 옆 공백을 모두 제거한 뒤 가운데 공백의 개수보다 하나 많은 수를 출력합니다. s = input() s = s.strip() print(s.count(" ")+1)
[백준/Python] 1152번: 단어의 개수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5: 문자열 > 1152번 #1152: 단어의 개수 s = input() print(len(s.split())) 공백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누는 메서드를 사용합니다. 이 함수를 모른다면 아래 걸로 써도 됩니다. 양 옆 공백을 모두 제거한 뒤 가운데 공백의 개수보다 하나 많은 수를 출력합니다. s = input() s = s.strip() print(s.count(" ")+1)
2024.01.28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5: 문자열 > 2675번 #2675: 문자열 반복 n = int(input()) for i in range(n): a, b = map(str, input().split()) b = str(b) for j in range(len(b)): print(int(a)*b[j], end="") print() 또는 삼중 반복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를 반복문으로 변환한 방식입니다. #삼중 반복 n = int(input()) for i in range(n): a, b = map(str, input().split()) for j in range(len(b)): for k in range(int(a)): print(b[j], end="") print()
[백준/Python] 2675번: 문자열 반복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5: 문자열 > 2675번 #2675: 문자열 반복 n = int(input()) for i in range(n): a, b = map(str, input().split()) b = str(b) for j in range(len(b)): print(int(a)*b[j], end="") print() 또는 삼중 반복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를 반복문으로 변환한 방식입니다. #삼중 반복 n = int(input()) for i in range(n): a, b = map(str, input().split()) for j in range(len(b)): for k in range(int(a)): print(b[j], end="") print()
2024.01.28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5: 문자열 > 10809번 #10809: 알파벳 찾기 s = input() c = 'abcdefghijklmnopqrstuvwxyz' for i in c: if i in s: print(s.index(i), end=" ") else: print(-1, end=" ") range를 사용하지 않고 문자열에 대해 반복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문자열의 각 문자에 대해 반복을 수행합니다.
[백준/Python] 10809번: 알파벳 찾기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5: 문자열 > 10809번 #10809: 알파벳 찾기 s = input() c = 'abcdefghijklmnopqrstuvwxyz' for i in c: if i in s: print(s.index(i), end=" ") else: print(-1, end=" ") range를 사용하지 않고 문자열에 대해 반복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문자열의 각 문자에 대해 반복을 수행합니다.
2024.01.28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5: 문자열 > 11720번 #11720: 숫자의 합 n = int(input()) ns = input() sum = 0 for i in range(n): sum = sum + int(ns[i]) print(sum) 각 입력 문자를 따로 숫자로 인식하기 때문에 각 반복에 대해 int변환을 해줘야 합니다.
[백준/Python] 11720번: 숫자의 합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5: 문자열 > 11720번 #11720: 숫자의 합 n = int(input()) ns = input() sum = 0 for i in range(n): sum = sum + int(ns[i]) print(sum) 각 입력 문자를 따로 숫자로 인식하기 때문에 각 반복에 대해 int변환을 해줘야 합니다.
2024.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