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s/coding test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3: 반복문 > 10950번 #10950: A+B - 3 n = int(input()) for i in range(n): a, b = map(int,input().split()) print(a+b) 인풋으로 받은 값을 반복 횟수 란에 적습니다. 매 반복 때마다 수를 새로 받으므로 반복문 안쪽에 a, b를 받아야 합니다.
[백준/Python] 10950번: A+B - 3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3: 반복문 > 10950번 #10950: A+B - 3 n = int(input()) for i in range(n): a, b = map(int,input().split()) print(a+b) 인풋으로 받은 값을 반복 횟수 란에 적습니다. 매 반복 때마다 수를 새로 받으므로 반복문 안쪽에 a, b를 받아야 합니다.
2024.01.14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3: 반복문 > 2739번 #2739: 구구단 a = int(input()) for i in range(1,10): print("%d * %d = %d" %(a,i,a*i)) print문에 d%를 여러 개 쓰고, 큰따옴표가 끝난 뒤 %(값1, 값2...)를 사용하면 값1, 값2 순서대로 %d 자리에 들어가게 됩니다.
[백준/Python] 2739번: 구구단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3: 반복문 > 2739번 #2739: 구구단 a = int(input()) for i in range(1,10): print("%d * %d = %d" %(a,i,a*i)) print문에 d%를 여러 개 쓰고, 큰따옴표가 끝난 뒤 %(값1, 값2...)를 사용하면 값1, 값2 순서대로 %d 자리에 들어가게 됩니다.
2024.01.14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2: 조건문 > 2480번 #2480: 주사위 세개 a, b, c = map(int,input().split()) if a==b==c: print(10000+a*1000) elif a==b or b==c or c==a: if a==b: print(1000+a*100) elif b==c: print(1000+b*100) else: print(1000+c*100) else: print(max(a,b,c)*100) 두 수가 같을 경우에만 이중 반복문을 걸었습니다.
[백준/Python] 2480번: 주사위 세개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2: 조건문 > 2480번 #2480: 주사위 세개 a, b, c = map(int,input().split()) if a==b==c: print(10000+a*1000) elif a==b or b==c or c==a: if a==b: print(1000+a*100) elif b==c: print(1000+b*100) else: print(1000+c*100) else: print(max(a,b,c)*100) 두 수가 같을 경우에만 이중 반복문을 걸었습니다.
2024.01.14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2: 조건문 > 2525번 #2525: 오븐 시계 a, b = map(int,input().split()) c=int(input()) if b+c =60 and a+(b+c)//60 < 24: print(a+(b+c)//60, (b+c)%60) else: print(a+(b+c)//60-24, (b+c)%60) c를 더할 시간으로 환산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c//60은 몫이므로 시간, c%60은 나머지이므로 분으로 나눗셈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시와 분을 a, b에 더해주면 됩니다.
[백준/Python] 2525번: 오븐 시계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2: 조건문 > 2525번 #2525: 오븐 시계 a, b = map(int,input().split()) c=int(input()) if b+c =60 and a+(b+c)//60 < 24: print(a+(b+c)//60, (b+c)%60) else: print(a+(b+c)//60-24, (b+c)%60) c를 더할 시간으로 환산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c//60은 몫이므로 시간, c%60은 나머지이므로 분으로 나눗셈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시와 분을 a, b에 더해주면 됩니다.
2024.01.14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2: 조건문 > 2884번 #2884: 알람 시계 a, b = map(int,input().split()) if b>=45: print(a,b-45) elif a==0 and b
[백준/Python] 2884번: 알람 시계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2: 조건문 > 2884번 #2884: 알람 시계 a, b = map(int,input().split()) if b>=45: print(a,b-45) elif a==0 and b
2024.01.14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2: 조건문 > 14681번 #14681: 사분면 고르기 a=int(input()) b=int(input()) if a>0 and b>0: print(1) elif a0: print(2) elif a
[백준/Python] 14681번: 사분면 고르기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2: 조건문 > 14681번 #14681: 사분면 고르기 a=int(input()) b=int(input()) if a>0 and b>0: print(1) elif a0: print(2) elif a
2024.01.14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2: 조건문 > 2753번 #2753: 윤년 a = int(input()) if (a%4 == 0 and a%100 != 0) or a%400==0 : print(1) else: print(0) 주어진 조건에 =을 사용할 땐 ==처럼 두 번 붙여서 사용합니다.
[백준/Python] 2753번: 윤년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2: 조건문 > 2753번 #2753: 윤년 a = int(input()) if (a%4 == 0 and a%100 != 0) or a%400==0 : print(1) else: print(0) 주어진 조건에 =을 사용할 땐 ==처럼 두 번 붙여서 사용합니다.
2024.01.14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2: 조건문 > 9498번 #9498: 시험 성적 a=int(input()) if a>=90: print("A") elif a>=80: print("B") elif a>=70: print("C") elif a>=60: print("D") else: print("F") 쉽게 통과했습니다.
[백준/Python] 9498번: 시험 성적단계별로 풀어보기 > 단계 2: 조건문 > 9498번 #9498: 시험 성적 a=int(input()) if a>=90: print("A") elif a>=80: print("B") elif a>=70: print("C") elif a>=60: print("D") else: print("F") 쉽게 통과했습니다.
2024.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