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tableau

[Tableau] 태블로 신병 훈련소 day3 review

  • -

무지한 나는 오늘부터 약간 머리가 아파오기 시작했음

어떡하냐 진짜

어쨌든 시작합시다 

 

2일차 3번째 과제에서 카페인 80mg을 기준으로 새로운 계산돈 범주형 필드를 만들었다. 근데 이 기준 80mg을 70mg이나 100mg으로 변경했을 때 데이터가 변하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싶다면?

... 을 해결하기 위해 매개변수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1.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측정값 변경하기(1) & 마크 색상 표현하기

  • 매개변수를 만들어보자. 계산된 필드를 만들 때와 동일하게 데이터 탭의 ▼을 눌러 만들 수 있다.

  • 매개변수는 문자열로 칼로리, 카페인, 당류 중 한 개의 값을 지닌다. 값이 문자열이므로 데이터 유형은 문자열로 정한다. 목록을 클릭하면 값과 표시 형식이 나오는데, 값은 계산에 실제 반영되는 이름이고 표시 형식은 캡션의 개념이라 생각하면 된다.

  • 갓 만든 따끈따끈한 매개변수를 이용하는 계산된 필드를 만든다. 이 계산 필드는 매개변수 값에 따라 해당 필드를 불러오는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if구문과 case 구문 모두 사용 가능하다.

#복사 양식

IF [측정값 선택] = '칼로리' THEN [칼로리(Kcal)] 
ELSEIF [측정값 선택] = '카페인' THEN [카페인(Mg)]
ELSEIF [측정값 선택] = '당류' THEN [당류(G)]
END

 

  • 그리고 두 번째 매개변수를 만든다. 이 매개변수는 카페인 함유량을 0~200 범위 사이에서 선택한다. 매개변수가 정수 값의 범위를 가지므로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될 것 같다.

  • 더 따끈따끈한 매개변수를 이용한 계산 필드도 만들어보자. 이 필드는 매개 변수의 카페인 함유량 값을 기준으로 높은 값과 낮은 값을 구분하는 범주형 필드가 될 것이다.

  • 새로운 개념은 끝났다. 워크시트를 마저 작성해보자. 카테고리별 칼로리/카페인/당류 가로 막대 그래프를 보기 위해 [카테고리]를 열 선반, 3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 [선택한 측정값] 필드를 행 선반에 올려둔다. (매개변수가 아니다! 매개변수로 만든 계산된 필드를 올려놓는 것이다) 행 선반에서 집계를 평균으로 바꿔준다.
  • 매개변수 값보다 큰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 [카페인 > 선택한 카페인]을 마크 선반의 색상에 드래그한다. 
  • 제목을 다음과 같이 변경해주면 매개변수 값에 따라 차트의 제목도 바뀔 것이다.

  • 그리고 완성본. 매개변수 값에 따라 색상, 그래프, 차트의 제목이 바뀜을 확인할 수 있다.
녹화 오류로 드롭다운이 보이지 않는데 측정값 선택에서 열심히 변경 중이다

 


 

2.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측정값 변경하기

─선택한 측정값에 따라서 두 측정값의 상관 관계를 살펴보는 동적 시각화

 

  • A와 B의 상관관계를 보이기 위해 이 A와 B가 무엇인지 선택하는 매개 변수를 만들어야 한다.
  • X축에 올 데이터와 Y축에 올 데이터를 선택하는 매개 변수를 만들자. 카페인/칼로리/나트륨/당류를 선택하는 문자열 목록형 매개변수가 될 것이다.

그리고 선택한 매개변수를 불러오기 위한 계산 필드도 만들어야 한다.

#복사 양식

CASE [X축 선택] 
WHEN '카페인' THEN [카페인(Mg)] 
WHEN '칼로리' THEN [칼로리(Kcal)]
WHEN '나트륨' THEN [나트륨(Mg)]
WHEN '당류' THEN [당류(G)]
END

CASE [Y축 선택] 
WHEN '카페인' THEN [카페인(Mg)] 
WHEN '칼로리' THEN [칼로리(Kcal)]
WHEN '나트륨' THEN [나트륨(Mg)]
WHEN '당류' THEN [당류(G)]
END

나중에 css에서 색깔을 수정해야지 원

코드블럭에서 언어를 아무리 바꿔도 안 보이네요

이 문단은 css를 수정하면 내려갑니다(ㅎ)

 

  • 열과 행 선반에 각각 [X축 선택]과 [Y축 선택]을 넣어주고 집계를 평균으로 바꾼다.
  • 각 데이터의 세부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카테고리]와 [메뉴명]을 마크 선반의 세부 정보에 드래그한다.
  • 보기 쉽게 분석 탭의 평균 라인을 워크시트에 추가한다.

 

  • 아래는 완성본이다. 매개변수로 유동적인 워크시트를 만들 수 있다.

 

 


 

 

3. 대시보드 동작 적용하기

─두 워크시트를 합친 대시보드를 만들고, 마우스오버 된 항목을 하이라이트하기

 

  • 대시보드를 생성하고 앞서 만든 두 워크시트를 위아래로 배치한다.
  • 대시보드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해 동작 탭에 들어간다. 워크시트에도 동작이 있는데 작업 중인 곳이 워크시트가 아니라서 활성화가 안 될 것이다.

대시보드 > 동작 위치 참고

  • 동작에서는 필터나 하이라이트 등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우리는 하이라이트 기능을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동작 추가 버튼을 누른 후 하이라이트를 생성한다.

초반엔 이게 진짜 헷갈렸다

  • 원본 시트: 움직임을 딸 기준 시트
    대상 시트: 위 움직임에 반응할 시트
    동작 실행 조건: 마우스 오버 시 동작 실행/선택(클릭) 시 동작 실행 등을 결정
    대상 하이라이트: 하이라이트 할 단위
  • 아래는 완성본. 마우스를 해당 카테고리에 올리기만 해도 두 번째 워크시트의 하이라이트가 적용된다.

 

 

 

과제하는 거랑 블로그 작성하는 건 또 다른 힘듦이다

왜 이렇게 시간이 많이 걸리지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