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격조했습니다
사실 삘 받았을 때 정리해야 하는데 그 시기를 놓치니까 정말정말 하기가 싫더라고요...
그래도 해야지 어쩌겠어
일단 시작해보겠습니다
1. 라인 차트
- 라인 차트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데이터의 패턴과 트렌드를 보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시각화이다.
기준년월 차원을 열에 끌어다 놓고, 우클릭을 눌러 년>월로 바꾼다.
- PM10을 행으로 끌어다 놓되 우클릭을 눌러 측정값을 합계에서 평균으로 바꾼다.
- 그럼 일단 이런 그래프가 만들어진다. 이는 월로 평균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 그런데 이때 기준년월을 연속형으로 바꾸면 년도 및 월별로 이런 연속적인 그래프가 만들어진다.
2. 하이라이트 테이블
- 기준년월의 월을 열에 끌어다놓는다. 우클릭한 상태로 끌어서 열로 설정하면 쉽게 할 수 있다. 아니면 이미 끌어다둔 것을 우클릭으로 변환해도 된다. 이때 월은 불연속형이다. 시도 차원은 행 선반에 둔다.
- 마크 모양을 사각형으로 바꾼다.
- PM10(미세먼지 농도)를 색상과 레이블로 끌어다 놓는다.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수록 빨간색, 낮을수록 파란색을 띠게 설정해두었다.
3. 테이블 계산식을 이용한 시간 분석
2000년도 대비 2020년의 가격 변동 비율을 시각화하려고 한다. 그러려면 2000년과 2020년의 데이터만 필터링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다.
- Date 필드를 열과 필터에 각각 가져다 놓은 후 2000년도와 2020년 값만 유지한다.
연도 필터
- dollar price를 행 선반과 색상에 각각 평균으로 드래그한다.
- 열 선반의 dollar price를 우클릭해서 퀵 테이블 계산으로 들어간다. 퀵 테이블 계산 옵션 중 비율 차이를 선택한다.
완성본이다!
4. 덤벨 차트
덤벨차트를 이용해서 연도 별로 최소 빅맥 가격과 최대 빅맥 가격의 차이 변화를 시각화한다. Korea_Price를 이용해서 한국의 빅맥 가격 변동도 함께 반영한다.
- 행에 년월 기준으로 date를 드래그한다. 마찬가지로 우클릭한 상태로 드래그하거나 드래그 후 우클릭해서 변경한다.
- 열에 측정값을 가져다 놓고 , 측정값 이름을 필터로 걸어 “Dollar Price”와 “Korea_Price”만 체크한다.
- Dollar Price”의 집계 형식을 최소값으로 변경한다.
- 측정값 선반에 Dollar Price를 한 번 더 가져다 놓고 집계 형식을 최대값으로 변경한다.
- 열에 있는 측정값을 옆으로 복사해서 2개의 측정값이 놓이도록 한다. (컨트롤 후 드래그하면 된다.)
- 첫 번째 측정값 마크 형태를 원, 두 번째 측정값 마크 형태를 라인으로 바꾼다.
- 측정값 하나를 우클릭해서 이중 축을 클릭한다.
의외로 포스트 쓰는 데 시간이 좀 걸린다
미리미리 쓸걸
어휴
힘내자 그래도